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무기력한 나에게 들려주는 스토아 철학 아무것도 하기 싫은 날이 있습니다. 무기력함이 나를 짓누르고, 해야 할 일도, 하고 싶은 일도 손에 잡히지 않죠. 이런 상태가 반복되면 우리는 스스로를 비난하거나, 삶에 대한 회의감까지 갖게 됩니다.이런 무기력함 속에서 삶의 중심을 다시 잡고 싶다면, 고대 로마 시대의 철학, 스토아 철학(Stoicism)을 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지금 이 순간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힘을 주는 철학입니다.스토아 철학이란?스토아 철학은 “자연에 따라 사는 삶”을 이상으로 삼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자연은 단순한 생물학적 개념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조화로운 삶의 원리를 의미합니다.스토아 철학자들은 외부의 사건이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한 나의 판단이 고통을 만든다고 보았습니다. 즉, 세상은 통제할 수 없지만, 그에 .. 2025. 8. 14.
게임 속 철학, 인기 게임에 숨겨진 철학적 메시지 게임은 이제 단순한 오락을 넘어선 하나의 종합 예술입니다. 고도화된 그래픽과 스토리, 복잡한 선택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그 속에 깊은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윤리적 선택, 자유의지, 자아, 존재의 의미와 같은 철학 주제는 게임 메커니즘과 서사 구조에 자연스럽게 녹아들며 플레이어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듭니다.1.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 인간이란 무엇인가?인공지능 안드로이드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 게임은 ‘자유의지’와 ‘인간성’이라는 철학적 질문을 중심에 둡니다. 인간과 똑같이 감정을 느끼고 사고하는 안드로이드는 과연 인간일까요? 또는 그들이 ‘선택’할 수 있다면, 이미 인간과 동등한 존재일까요?이 게임의 구조는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즉 "존.. 2025. 8. 14.
욕망의 철학 – 우리는 왜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가? 새로운 옷을 사고, 더 나은 스마트폰으로 교체하고, 더 큰 집을 꿈꾸며 살아가는 우리. 그러나 만족은 언제나 잠시뿐입니다. 또 다른 욕망이 생겨나고, 우리는 다시 채우기 위해 움직입니다. 이처럼 끝없이 반복되는 욕망의 구조에 대해 철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질문을 던졌습니다. 욕망은 무엇이며, 왜 우리는 결코 만족하지 못할까요?욕망은 결핍에서 시작된다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욕망을 ‘결핍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향연》에서 그는 인간의 사랑(에로스)을 ‘자기가 갖지 못한 것을 갈망하는 상태’로 정의합니다. 즉, 우리는 어떤 부족함을 느낄 때 욕망하게 됩니다. 이 관점에서 욕망은 자연스러운 인간의 반응이지만, 그 결핍은 영원히 채워지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입니다.라캉: 욕망은 항상 다른 것의 욕망이.. 2025. 8. 4.
MBTI와 철학: 인간을 분류할 수 있을까? 최근 몇 년 사이, MBTI는 단순한 심리검사를 넘어 일상적인 대화 주제가 되었습니다. 채용, 연애, 우정, 성격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MBTI가 사용되고 있으며, “나는 INFP야”, “너는 ENTJ지?”와 같은 말이 자연스럽게 오갑니다. 그러나 한 가지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인간을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철학은 흥미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MBTI란 무엇인가?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인간의 성격을 네 가지 이분법(E-I, N-S, F-T, P-J)으로 나누어 총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성격유형 검사입니다. 이 이론은 칼 융의 심리유형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과학적 검증 측면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 2025. 8. 4.
노자와 장자의 삶의 방식: 동양 철학에서 배우는 무위자연 현대 사회는 속도를 중시합니다. 빠른 결정, 빠른 성과, 빠른 성장. 그러나 이러한 흐름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지치고 방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럴 때 주목할 만한 것이 바로 동양 철학, 그 중에서도 노자와 장자의 도가 사상입니다.도가 사상이란 무엇인가?도가(道家)는 기원전 6세기경에 시작된 철학 사조로, '도(道)'를 근본 원리로 삼습니다.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의 《장자》는 도가 사상의 핵심 경전입니다. 도가 철학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하는 삶'을 지향합니다. 이를 무위자연(無爲自然)이라 표현합니다.노자: 최소한으로 살아가는 삶의 지혜노자는 “도는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이름 붙일 수 있는 도는 참된 도가 아니다”라는 말로 《도덕경》을 시작합니다. 이는 인간의 언어나.. 2025. 8. 4.
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 - 철학이 가르쳐주는 생각하는 법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 우리는 매일 수많은 주장과 의견에 노출됩니다. 유튜브, SNS, 뉴스, 댓글까지 다양한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지만, 그만큼 허위 정보와 편향된 시선도 함께 퍼지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중요한 것은 ‘생각하는 법’입니다. 바로, 철학이 강조해온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입니다.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비판적 사고는 단순히 “비판”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보를 분석하고, 근거를 확인하며,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즉, 어떤 주장에 대해 ‘왜 그렇지?’를 묻고, 그 주장이 얼마나 타당한지를 점검하는 사고 방식입니다.철학자 존 듀이(John Dewey)는 비판적 사고를 “의심에서 출발해 논리적 추론을 통해 결론에 이르는 사고의 과정”으로 정의했습니다. 이.. 2025. 7. 31.